자바트 작업공간
대학에서 현장실습으로 하고있는 현 프로젝트에서 VDI를 할 때,VM웨어, RHV, XAN중에 RHV에 대해서 하게되었다. 여기서는 일단, RHV에 대한 간단한 기술 조사를 해볼까 한다.https://www.redhat.com/ko/topics/virtualizationRHV란, Red Hat Virtualization의 약자다. 리눅스의 버전일 뿐이라고 생각하던 RedHat을 이렇게 접하게 되었다.위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Red Hat의 공식사이트로, RH에 대한 소개부터 기술들의 소개도 나오고있다. 영알못인 나로서는 미번역상태라 꺼림칙하지만, 아무래도 만든 장본인들이 작성한 곳이다보니 집중해서 해석해보기로 했다. 제일 처음으론 VDI에 대한 소개가 있지만, 전 글에서 다뤘기에 넘어가겠다. "가상화로 무엇..
VDI란,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의 약자다.(Infrastructure / 사회 기반 시설, 기반, 토대) 사전에 대략 적으로 검색을 해보았을 때는의미 그대로 가상데스크탑의 기반쯤 되는 시스템이었다. 운영방식은 크게 2가지가 있다.(VDI의 분류 및 이점 http://bcho.tistory.com/588)RDSH (Remote Desktop Session Host) 반가상화 -> 리눅스, 윈도우의 다중 사용자와 비슷한 개념이다. 먼저 호스트OS(윈도우, 리눅스, 맥 등)을 먼저 설치하고 이 위에 VDI를 설치함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직 예측의 단계지만 아마, 이 부분은 호스트 OS자체가 서버의 역할을 해줄 것 같다.RDVH (Remote Desktop Virtual..
이 절은 전에 작성된 캐싱전용 DNS 서버를 이어서 작성한 글이다. 1. 방화벽에서 DNS에 대한 포트번호를 열어준다.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53/tcp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53/udp 2. named.conf 파일을 수정한다.#vi /etc/named.conf 전 절에서는 설명하지 않은 설정 파일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아직 중괄호가 안닫혀있음을 유의하라. directory는 각 도메인의 zone 파일의 위치를 지정한다.dump-fire은 정보가 갱신될 때 저장되는 파일이다.statistics-file은 통계파일을 지정한다.memstatistics-file은 메모리 관련..